돌봄교실 확대? - 교육적인가? 아이에게 도움이 될까?
맞벌이 부부의 초등학생 자녀 양육을 돕기 위해, 정부가 5년 간 1조 원 이상을 들여 '방과 후 돌봄 서비스'를 강화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육아의 부담을 학교와 마을이 나누도록 국가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아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문재인 대통령이 서울의 한 초등학교 방과 후 돌봄 현장을 찾았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지금 동화책 읽는 수업하는데 같이 들을까요? 좋아요? (네!)"]
이같은 학교나 지역 아동센터의 돌봄 서비스 이용 규모는 전체 초등학생의 12.5%에 불과합니다.
방과 후 돌봄 공백이 일과 육아 병행을 어렵게 하고, 여성 경력단절의 주 원인이라는 게 정부의 판단입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앞으로 5년 동안 '돌봄 서비스' 규모를 현재 33만 명에서 53만 명으로 대폭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정부의 목표는 필요한 모든 아이에게 공적인 돌봄을 지원하는 겁니다. 우선 최소 맞벌이 아이들만이라도 지원할 수 있게 해야합니다."]
대상은 초등 1, 2학년 위주에서 전 학년으로 차차 늘려나가고, 오후 5시까지였던 시간도 부모들의 퇴근을 고려해 7시까지로 늦춥니다.
이를 위해 신설학교의 돌봄 교실 설치를 의무화하고, 겸용 교실 리모델링 등으로 시설을 대폭 확대합니다.
5년간 1조 천53억 원을 들일 예정입니다.
[문재인 대통령 : "한편으로 초등학생들의 사교육 이용을 줄여 사교육비 부담을 낮추는 정책 효과도 있을 것입니다."]
정부는 이와함께 노동시간 단축, 칼퇴근 문화 정착 등 가정 양육을 위한 근본 해결책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