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경제입니다. 여러분 혹시 알고 계셨는지 모르겠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사실 몰랐습니다. 4월만 되면 직장인들 상당수가 건강보험료를 평소보다 더 많이 내게 된답니다. 이게 이유가 작년에 월급 오르고 내린데 맞춰서 추가로 돈을 더 내게 되는 거라는데, 올해는 또 얼마나 더 내게 될지 이게 결정이 났다면서요?
<기자>
꽤 올랐습니다. 빠르면 내일부터 월급 통장 확인하시는 분들이 계실 것 같아서 통장 보고 "왜 이렇게 줄었어?" 놀라지 마시라고 미리 말씀을 드리면, 평균 13만 원 한 사람당, 상당히 많은 월급쟁이들이 한 달 치 건강보험료를 이번 달에 더 내야 됩니다.
<앵커>
4월 월급이 적어지겠네요. 13만 원이면 더 내는 사람도 있을 거고, 평균이니까. 적지 않은 돈인데요.
<기자>
그렇습니다. 적은 돈 아니죠. 아까 말씀하신 대로 건강보험료는 작년에 번 돈 대비해서 잘 벌면 더 많이 내고 덜 벌면 적게 내는 건데, 작년 소득이 다 나온 다음에 계산해서 4월달에 덜 받은 걸 걷어 가게 됩니다.
그래서 계산을 해봤더니 작년에 월급이 오른 사람이 전체 월급쟁이 중에 절반, 827만 명이라서 왼쪽에 보시는 것처럼 13만 3천 원을 평균 더 걷어가고요, 작년에는 추가로 낸 금액이 평균 12만 4천 원이었으니까, 한 1만 원 정도 올랐습니다.
연봉이 내린 250만 명은 되돌려도 줍니다. 평균 7만 2천5백 원씩 돌려주는데, 숫자가 훨씬 적죠. 월급 줄어서 건강보험료 돌려받는 건 너무 슬프고요, 그렇다고 4월에 한 번에 확 떼가는 것도 좀 별로인데, 건강보험에서는 정 부담되면 회사 인사팀에 이야기하면 열 달 할부로 낼 수도 있다고 얘기를 하는데, 사람 자존심이 있지 또 그걸 1만 원씩 10개월 할부 이렇게 회사에다가 어떻게 이야기를 합니까?
그냥 내야 되는 건데, 올해 좀 제도가 바뀌어서 올해 1월부터는 오른 대로 바로바로 거기서 보험료를 올리고 있다 그래요. 그래서 아마 4월에 이렇게 왕창 돈 가져가는 건 다행히도 올해가 마지막이 될 것 같습니다. 내는 돈은 똑같지만.
'교육관련자료 > 급여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과 상여금 6월말 지급예정 (0) | 2016.05.19 |
---|---|
연말정산 추가 언제까지 가능한가요? (0) | 2016.04.20 |
2016년도 맞춤형복지제도 알림 (0) | 2016.02.17 |
2016년 교원성과급 변화예정 (0) | 2016.01.29 |
2015 연말정산 -소득있는 배우자 병원비 한 곳에 몰 수 있음 (0) | 2016.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