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분 | 개정 전 | 개정 후 |
임산부 공무원 야간‧휴일근무 제한 | (신설) | 임신 중이거나 출산한 지 1년이 지나지 않은 공무원의 야간(22시~06시) 및 토요일․공휴일 근무 제한 ※ 임산부 공무원의 동의나 신청이 있는 경우에만 근무 가능하도록 예외 인정 |
임신 공무원 장거리‧장시간 출장 제한 | (신설) | 임신한 공무원에 대하여는 장거리․장시간 출장 제한 가능 |
자녀돌봄휴가 도입 | (신설) | 어린이집․유치원․초․중․고등학교 이하 자녀를 둔 공무원 대상으로 연간 2일 이내의 특별휴가* 부여 * 교사와의 상담, 보육기관의 공식적 행사에 참여하는 경우 등 사용가능 |
배우자 출산휴가 | 기관장 재량사항 - 배우자 출산휴가를 받을 수 있음 | 기관장 의무사항 - 배우자 출산휴가를 신청하면 기관장은 이를 반드시 승인 |
육아시간 인정범위 | 생후 1년 미만 유아를 가진 여성공무원 | 남성공무원까지 확대 |
국외출장보고서 정보유통망 등록 | 정보유통망 등록기준이 없었음 | 소속장관은 제출받은 날부터 15일 이내 정보유통망에 등록하도록 함 |
'교육관련자료 > 법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식지도는 아동학대? (0) | 2018.05.25 |
---|---|
교사를 공포로 몰고가지 말라. -휴게소에 아이둔 교사 벌금 800만원 (0) | 2018.05.21 |
교권보호위원회 (0) | 2017.09.22 |
학교운동장 개방에 대한 유권해석 - 교육감 권한 (0) | 2017.07.10 |
병가내고 해외여행과 관련된 처벌 (0) | 2017.06.23 |